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남계서원(경남 함양군)

반응형

남계서원은 경남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길 8-11(원평리 586-1), 사적제499호(2009. 05. 26. 지정)로 조선 명종 7년(1552)  문헌공 정여창(1450~1504) 선생을 기리기 위해 개암 강익이 주도하여 당시 군수 윤학의 도움을 받아 유림과 함께 남계서원을 세웠고, 명종 21년(1566)에 사액 서원이 되었다.

 

남계서원은 버스도로에 있으며,

 

들어서면

 

간판이 보이고

 

입구 관리소가 보인다.

 

거북비를 지나

 

남계서원 입구다. 홍살문이 보이고

 

남계서원에 대한 글귀다.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유생들이 건립하였다.

이 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에 명종 임금에게서 하사 받은 사액서원이다.

출입문인 풍영루와 강당, 동재, 서재, 경판고(장판각), 사당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급한 경사지에 사당을 제일 높은 곳에 두고 출입문까지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였는데, 이는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이며, 이후 각 지역에 건립되는 서원은 대부분 이러한 배치 형식을 따르게 되었다.

남계서원은 정유재란(1597년) 때 소실 되었으나 1612년 현재 자리에 다시 세웠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헐지 않고 존속한 서원 중 하나다.

 

종합안내를 보면서

 

주변을 둘러 보았다.

 

남계서원과 청계서원이 보인다. 왼쪽은 청계서원 오른쪽은 남계서원이다.

 

남계서원 들어가는 풍영루 입구다. 남계서원은 조선시대 5현과 동국 18현 중의 한 사람인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의 유민교육을 위하여 명종 7년에 건립된 서원으로 들어 가려고하니 기분을 어찌 표현해야 될지 모르겠다.

 

들어서니 조상님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느낌이다.

 

묘정비

 

남계서원에 일두 정여창, 동계 정온, 개암 강익 선생 세분을 모시고 향사를 올리고 있음에도 이를 찬양하는 송덕비가 없어 안타까워하다가 남계서원 건립 200여 년이 지난 1779년에 묘정비를 세우면서 글을 새겼다.

비문은 조선 후기 정조 때 문관 김종후가 지었다.

 

옆으로 가니 관리하시는 분의 집인지 정갈하다.

 

안채인가? 신발도 있고

 

화장실도 깨끗하다.

 

옆집에서 본 남계서원

 

맨위 사당이 보인다.

 

여기저기 보면서 옆집을 나와서 청계서원으로 발길을 돌렸다.

 

남계서원은 한 번 쯤은 가볼만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2019. 7. 10)된 곳으로 우리 역사를 되돌아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반응형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두(정여창) 고택(경남 함양군 지곡면)  (0) 2020.10.23
청계서원(경남 함양군)  (0) 2020.10.23
이기대(부산 용호동)  (0) 2020.10.19
선미 횟집(부산 용호동 맛집)  (0) 2020.10.19
정동진역  (0) 2020.10.15